티스토리 뷰

목차



    반응형

    연말정산 신용카드소득공제 사례확인을 통하여 나의 신용카드 공제액을 계산해 볼 수 있습니다. 총 급여7천만 원 이하자와 총 급여7천만 원 초과자를 예로 들었습니다. 확인해 보시고 신용카드 사용을 적절하게 하여 절세에 도움이 되기 바랍니다.

     

     

    연말정산 신용카드소득공제

     

     

    연말정산 신용카드소득공제 공제액을 극대화하여 절세를 하고 싶을 때 맞벌이 부부라면 총급여가 적은 배우자 카드로 결제하는 것이 절세에 도움이 됩니다. 또한 직불카드·현금영수증 이용분은 30%를 공제받을 수 있으므로 되도록 직불카드·현금영수증을 이용하시는 것이 절세에 도움이 됩니다.

     

     

    예상세액 계산하기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자동계산 됩니다. 연말정산 신용카드소득공제 공제액을 계산하려면 아래 링크을 이용하면 됩니다.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연말정산 신용카드소득공제 결제수단 · 사용처별 소득공제율

     

    결제수단 및 사용처별 공 제 율
    신용카드 15%
    직불선불카드현금영수증 30%
    도서공연영화박물관미술관
    (’23.4.1.12.31. 대중교통 사용분)
    *총급여 7천만 원 이하자만 해당
    30%
    (40%)

    전통시장 사용분
    (’23.4.1.12.31. 전통시장 사용분)
    40%
    (50%)
    대중교통 사용분 80%

    영화관람료는 2023.7.1.2023.7.1. 이후 사용분부터 공제가능 

     

     

    연말정산 신용카드소득공제 공제한도 및 최저 사용금액

     

    연말정산 신용카드소득공제연말정산 신용카드소득공제연말정산 신용카드소득공제
    연말정산 신용카드소득공제

     

     

    (공제한도) 급여 수준별 공제한도 중 적은 금액

     

    구 분 공 제 한 도
    총급여 7천만 원 이하자 300만원
    총급여 7천만 원 초과자 250만원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(추가 공제한도) 아래 항목별로 각 100만 원 한도 추가

     

    항 목 추가공제한도
    7천만원 이하자 7천만원 초과자
    전통시장 300만원 200만원
    대중교통
    도서공연영화·박물관미술관  

     

    (최저 사용금액) 신용카드 등 사용금액 중 총급여액의 100분의 25에 해당하는 금액

    신용카드 등 사용금액에서 최저사용금액을 차감한 금액에 공제비율을 곱하여 공제금액을 계산

     

    연말정산 신용카드소득공제연말정산 신용카드소득공제연말정산 신용카드소득공제
    연말정산 신용카드소득공제

     

    연말정산 신용카드소득공제 총급여에 따른 사례

     

    사례1 총급여 7천만원 이하자의 신용카드 사용금액이 최저 사용금액(총급여의 25%) 이상

    총급여 6800만 원인 근로자의 신용카드 등 소득공제액은?

    올해 연말정산 신용카드소득공제 금액은 소득공제 추가분 300만 원을 포함하여 총 600만 원입니다.

    예상세액 계산하기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자동계산 됩니다.



    [2023
    년 신용카드 등 사용 현황]

    1) 전통시장 사용액 중 ’2313월 사용금액은 120만원, 412월 사용금액은 280만원
    2) 도서·공연 사용액 중 ’2313월 사용금액은 50만원, 412월 사용금액은 150만원


    [
    소득공제금액 계산]

    신용카드 등 사용금액은 4,600만원으로 최저 사용금액(총급여의 25%)
    = 6,800만 원×25%=1,700만 원을 초과하므로 소득공제 가능

    신용카드 등 사용금액에 따른 소득공제금액:600만 원(1+2)



    1.기본공제 금액

    : ++++-= 1,028만원(한도 300만원)


    전통시장 사용분 = (120만원 × 40%) + (280만원 × 50%) = 188만원
    대중교통 사용분 = 300만원 × 80% = 240만원
    도서·공연 등 사용분 = (50만원×30%)+(150만원×40%) = 75만원
    현금영수증, 직불선불카드 등 사용분(전통시장대중교통 이용분 제외)= (1,300만원-400만원) × 30% + (800만원-200만원) × 30% = 450만원
    신용카드사용분 = (2,500만원-300만원) × 15% = 330만원
    최저사용금액에 해당하는 소득공제 금액(신용카드 사용금액 최저사용금액 인 경우)
    = 최저사용금액(1,700만원) × 15% = 255만원



    2.추가한도 적용에 따른 소득공제금액= 300만 원*

    * Min{한도초과액(1,028만 원-300만 원), (188만원+ 240만원+75만원), 300만원}= 300만원

    * 총급여 7천만원 이하자의 추가공제 한도 300만원 적용

     

     

    연말정산 신용카드소득공제연말정산 신용카드소득공제연말정산 신용카드소득공제
    연말정산 신용카드소득공제

     

     

    사례2 총급여 7천만원 초과자의 신용카드 사용금액이 최저 사용금액(총급여의 25%) 이상

    총급여 9천만 원인 근로자의 신용카드 등 소득공제액은?



    올해 연말정산 신용카드소득공제 금액은 소득공제 추가분 150만 원을 포함하여 총 450만 원입니다.
    예상세액 계산하기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자동계산 됩니다.


    [신용카드 등 사용 현황]

    신용 카드       3,100만 원(대중교통 200만 원 포함)
    현금영수증    1,800만원(전통시장 350만 원 포함
    체크카드        900만 원(도서공연 270만 원 포함)
    총계               5,800만 원

    전통시장 사용액 중 ’2313월 사용금액은 90만원, 412월 사용금액은 260만원
    도서·공연 사용액 중 ’2313월 사용금액은 70만원, 412월 사용금액은 200만원


    [소득공제금액 계산]


    신용카드 등 사용금액은 5,800만원으로 최저 사용금액(총급여의 25%)
    = 9,000만 원×25%=2,250만 원을 초과하므로 소득공제 가능


    신용카드 등 사용금액에 따른 소득공제금액:450만 원(1+2)


    1. 기본공제 금액


    : +++-= 1,212.5만원(한도 250만원)
    전통시장 사용분 = (90만원 × 40%) + (260만원 × 50%) = 166만원
    대중교통 사용분 = 200만원 × 80% = 160만원
    현금영수증, 직불선불카드 등 사용분(전통시장대중교통 이용분 제외)
    = (1,800만원-350만원) × 30% + (1,450만원-270만원) × 30% = 789만원
    신용카드사용분 = (3,100만원-200만원) × 15% = 435만원
    최저사용금액에 해당하는 소득공제 금액(신용카드 사용금액 최저사용금액 인 경우)
    = 최저사용금액(2,250만원) × 15% = 337.5만원


    2.추가한도 적용에 따른 소득공제금액= 200만 원*


    * Min{한도초과액(1,212.5만 원-300만 원), (188만원+ 160만원), 200만원}= 200만원

    * 총급여 7천만원 초과자의 추가공제 한도 200만원 적용

     

     

    맺음말

     

    연말정산 신용카드소득공제의 신용카드사용액이 더 많은 사례 2가 신용카드 공제액은 더 적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. 총급여가 적은 사례 1이 신용카드 공제한도가 더 크기 때문에 소득공제를 더 많이 받습니다. 따라서 맞벌이 부부라면 총급여가 적은 배우자 카드로 결제하는 것이 연말정산 신용카드소득공제 절세에 도움이 됩니다. 

     

     

    연말정산 예상세액 계산하기

    연말정산 예상세액 계산하기는 절세 방법 중 하나입니다. 예상세액을 미리 계산해서 확인을 할 수 있으므로 부족한 항목에 대한 절세방법을 찾을 수 있습니다. 그럼 절세를 위한 연말정산 예상

    okk.nado100.com

     

    연말정산 시 절세 Tip 확인하기

    연말정산 시 절세 Tip 8가지를 알려 드리겠습니다. 이 방법만 활용해도 더 많은 절세를 할 수 있으므로 13월의 월급을 받아갈 수 있습니다. 1. 따로 사는 소득이 없는 부모님을 실제 부양하는 경우

    okk.nado100.com

     

    연말정산기부금 세액공제 확인하기

    연말정산 기부금 세액공제는 연말정산에서 세금을 줄일 수 있는 제도입니다. 기부금의 종류와 세액공제 대상금액한도, 세액공제 유형, 기부금 공제 시 제출 서류 등을 알려드리겠습니다. 연말

    okk.nado100.com

     

    반응형